싱글스레드 자바스크립트
·
프론트엔드/Javascript
1. 자바스크립트는 어떤 언어 인가? -> 자바스크립트는 인터프리터 언어이며 단일 스레드이다. 2. 실제 사용시 멀티스레드처럼 사용하는 방법은? -> Web Worker (멀티스레드) Web Worker란? 멀티스레드의 기능. Web Worker가 생성될 때 마다 고유 스레드를 같이 생성한다. HTML 페이지에서 스크립트가 실행되면 해당 페이지는 스크립트가 끝날 때 까지 작업을 멈춘다. 이를 해결하기 녀석이 Web Worker이다. 이 녀석의 핵심 특징 2가지는 아래와 같다. 특징 1) Web Worker는 HTML페이지의 퍼포먼스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2) 다른 스크립트와는 독립적으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JS(멀티스레드)이다. 효과 멀티스레드 작업이 가능해짐으로 속도 성능 크게 향상. 기존의 웹은..
깃허브 폴더에 화살표 표시가 있는 이유와 제거하는 방법
·
프론트엔드/Git
Cause 한 레포지토리 안에 .git 파일이 여러개 있기 때문. 혹은 git cache 문제 Solution 화살표가 나타나는 폴더안에 .git 파일을 지우면 된다. 파일 존재하는지 확인 ls -al 파일 삭제 rm -rf .git 그래도 안된다면? 깃 캐쉬 삭제 git rm --cached [arrow folder] 그리고 git add commit push 작업 다시 해주면 됨!
간단하지만 명료하게 리액트 의존성 배열 정리
·
프론트엔드/React
의존성배열 1. useEffect(effect) ==> 컴포넌트가 렌더링될 때마다 호출됩니다. 2. useEffect(effect, []) ==> 첫 번째 렌더링 후에만 호출됩니다. 3. useEffect(effect, [userId]) ==> 첫 번째 렌더링 후에 호출되며, 이후에 userId가 변경될 때마다 호출됩니다. 3번에서 userId 라는 값은 항상 렌더링과 관련된 값이어야 합니다. `렌더링과 관련된 값` 이라는 것은 그 값이 변경되면 컴포넌트가 다시 렌더링 되는지를 보고 알 수 있습니다. 어떤 변수의 값이 변경됐는데 컴포넌트가 다시 렌더링되지 않는다면 그 변수는 deps 배열에 넣을 필요가 없습니다. 결국 `렌더링과 관련된 값` 이라는 것은 컴포넌트 상태값, 속성값 등을 말하는거구요. 전역 ..
Class vs Object vs Instance 정리
·
프론트엔드/Javascript
Class vs Object vs Instance GOAL - Class, Object, Instance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Class, Object, Instance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Class란? 개념: 객체를 만들기 위한 전체적인 틀이자 객체들을 정의해 놓은 것이다. 비유: 붕어빵 틀 Object란? 개념: 객체는 클래스 내부를 구성하는 요소다. 비유: 붕어빵틀로 만들어진 붕어빵 Instance란? 개념: 객체를 실체화 한것. 실체화? 대체 무슨말이지? 우선 객체와 인스턴스를 다시 정석대로 정의해보면 객체란 소프트웨어 세계에 구현할 대상 인스터스란 소프트웨어 세계에 구현된 구체적인 실체 두 정의를 쉽게 풀어보면, Coffee라는 클래스 있다. 커피의 종류에는 아메리카노, 카페라떼..